반응형
-
주절거림 그 새벽에 다시 키보드를 잡으며 10년쯤 된 듯하다. 일상 속에서 며칠이고 몇 주고 고민하다가 하나의 글을 써내던 나를 그만둔 지가. 생각의 결론과 그 생각의 정리를 하기까지의 과정들은 나에게 끊임없는 과제를 안겨 주었다. 하지만 짧게나마 글을 써내려 가면서 하나의 마침표를 가지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고통의 생각 뭉치를 덜어 낼 수 있었다. 나는 왜 글 쓰는 것을 그만두었을까? 아마도 싸이월드의 몰락과 함께 했을 것이다. 싸이월드 그 이후로는 글을 쓸 마땅한 공간이 없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으로 이어진 sns의 트렌드는 호흡이 매우 짧은 글을 올리길 강요했다. 그리고 읽는 이들의 타임라인에서 몇 시간도 안되어 뒤로 밀리고, 내가 아무리 열심히 글을 써 봐야 읽는 사람들에게는 시간을 내어 집중해서 읽어야 하는 귀찮은 글로..
-
카테고리 없음 [javascript] 배열 계산하기 reduce 함수 들어가며 처음 reduce 함수를 보았을 때는 이게 뭔가 했다. 잘 이해도 되지 않을 뿐더러, 다른 방법들이 얼마 든지 있어서 였다. 하지만 이 말은 다르게 생각해보면, 다른 방법들을 reduce 함수 하나로 해결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배열을 순회 하면서 할 수 있는 모든것을 정의 할 수 있는 강력함 함수가 reduce 이다. 검색하면 많이 나오는 배열의 합을 구하는건 기본이고 각 요소에 대한 처리나, 요소의 구분, 함수를 넣어서 또다른 값을 만드는 등 배열 하나에 대해서 입맛대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기본 문법 함수의 기본 정의는 다음과 같다. arr.reduce(callback[, initialValue]) 임의의 배열 arr 뒤에 reduce 를 호출하고 괄호에 두가지 인자가 들어가게..
-
javascript [javascript] exceljs 사용법, 엑셀 다운로드 웹의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서 엑셀 형식으로 다운로드 되게 해줘야 할때가 있다. 백단에서 만들어 줘도 되지만, 자바스크립트로 처리 하는게 편할때가 많다. exceljs는 자바스크립트 엑셀 라이브러리 중에서 제일 괜찮은듯 보인다. 그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설치 https://github.com/exceljs/exceljs GitHub - exceljs/exceljs: Excel Workbook Manager Excel Workbook Manager. Contribute to exceljs/excelj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의 깃허브 페이지에 접속하면 전체 소스를 다운받아 볼 수 있다. 간단하게 npm으로 설치 ..
-
PHP [PHP] 배열을 검색하여 키를 반환하는 array_search 배열을 검색 조작해야 하는일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 중 원하는 배열의 키값을 찾을 for 문이나 foreach 문을 이용해 배열을 순환하면서 키 인덱스를 찾아 볼 수도 있지만, 함수를 이용해 키를 찾을 수도 있다. array_search array_search(mixed $needle, array $haystack, bool $strict = false): int|string|false 간단한 사용법은 array_search([검색조건], [검색할 배열]) 이다. 코드 예제를 보면 더욱 쉽다. $arr1 = ['hello', 'nice', 'good', 'code', 'colon']; $res1 = array_search('good', $arr1); echo $res1; // 결과 : 2 하지만 ..
-
JAVA [JAVA] 자바, 배열 뒤집기 Collections.reverse() 가끔 배열을 뒤집어서 써야 할 때가 있다. 뭐.. 날짜가 ASC에서 DESC로 된다거나 할 경우에, 그럴 때는 간단하게 ArrayList로 바꾸어 reverse 메소드를 이용하면 된다. int[] arr1 = {1,5,6,8,10}; List list1 = Arrays.asList(arr1); Collections.reverse(list1);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list1.toArray()));
반응형